정부정책

📌 2026 연말정산 의료·출산·육아 핵심 변경사항

ID114 2025. 9. 25. 20:27

2026 연말정산에서는 의료·출산·육아 관련 공제가 대폭 강화됩니다. 특히 산후조리원 비용과 6세 이하 의료비가 확대되고, 육아휴직 급여 비과세 범위도 늘어나 실질 환급과 절세 효과가 커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산후조리원·육아휴직·영유아 의료비 공제를 핵심만 간단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1. 산후조리원 비용 공제 확대

  • 기존: 총급여 7,000만 원 이하만 공제 가능
  • 변경: 소득 기준 제한 삭제, 누구나 공제 가능
  • 한도: 출산 1회당 200만 원 한도

📌 포인트:

  • 출산증명서 + 산후조리원 영수증 제출 필수
  • 다태아 출산도 1회 출산으로 계산됨

✅ 2. 6세 이하 의료비 공제

  • 기존: 의료비 공제 한도 존재
  • 변경: 6세 이하 아동의 의료비는 한도 제한 없이 전액 공제
  • 예: 소아과 진료, 약제비, 예방접종 등

📌 팁:

  • 홈택스 간소화 서비스에서 대부분 자동 조회 가능
  • 비급여 항목은 영수증 별도 제출 필요

✅ 3. 육아휴직 급여 비과세 확대

  • 육아휴직 중 지급되는 급여 일부 비과세 → 비과세 범위·금액 확대
  • 휴직 기간에도 실수령액 증가 효과

📌 포인트:

  • 회사에서 지급한 출산·육아 관련 지원금도 일정 조건에서 비과세 가능
  • 관련 서류: 고용보험 급여 내역, 회사 지급 명세서

 

📋 신청 조건 & 준비 서류

  1. 산후조리원 공제
    • 출산 사실 증명서
    • 산후조리원 영수증 (병원/시설 등록증 포함)
  2. 6세 이하 의료비 공제
    • 아이 주민등록등본 (연령 확인용)
    • 의료비 영수증(간소화 서비스 누락분 직접 제출)
  3. 육아휴직 비과세
    • 고용보험 육아휴직 급여 내역서
    • 회사 지급명세서

🔗 정리

2026 연말정산에서 출산·육아 관련 혜택은 확실히 넓어졌습니다.

  • 산후조리원: 소득제한 없이 누구나 공제 가능
  • 6세 이하 의료비: 전액 공제 가능
  • 육아휴직 급여: 비과세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