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정책

📌 2026 연말정산 월세·주거 공제 핵심 변경사항

ID114 2025. 9. 25. 20:17

 2026 연말정산에서는 월세 세액공제와 주택청약저축 소득공제가 크게 달라집니다. 특히 총급여 기준 완화 & 공제 한도 상향으로 직장인, 청년, 신혼부부에게 더 유리해졌어요. 이번 글에서는 월세·주거 공제 항목을 한눈에 정리해드리고, 신청 조건과 유의사항까지 쉽게 체크해보세요

“나는 월세 사는데 공제 받을 수 있을까?”, “총급여 기준이 얼마까지 확대됐을까?"

 

 

✅ 1. 월세 세액공제 확대

  • 총급여 기준 상향: 기존 7,000만 원 이하 → 8,000만 원 이하로 완화
  • 공제 대상 월세액 한도: 연 750만 원 → 1,000만 원까지 확대
  • 공제율: 12~17% 적용 (총급여·무주택 여부에 따라 차등)

📌 예시

  • 총급여 6,000만 원, 월세 80만 원(연 960만 원) 지출 → 1,000만 원 한도 내에서 공제 가능
  • 공제액 = 960만 원 × 12% = 약 115만 원 세액공제

✅ 2. 주택청약저축 소득공제 강화

  • 공제율: 납입액의 40%
  • 한도: 연 240만 원 → 300만 원으로 확대
  • 대상: 무주택 세대주 + 일정 요건 충족 시 세대원도 가능
  • 특징: 내 집 마련 준비하면서 세금 혜택까지 챙길 수 있음

📌 팁

  • 매달 25만 원씩 1년 납입 → 300만 원 공제 대상
  • 공제액 = 300만 원 × 40% = 120만 원 소득공제

📋 신청 조건 & 주의사항

  1. 월세 세액공제
    • 무주택 세대주(또는 세대원)
    • 주택 전용면적 85㎡ 이하, 기준시가 3억 원 이하 주택
    • 주민등록 전입신고 + 임대차계약서 제출 필수
  2. 청약저축 소득공제
    • 반드시 무주택 세대주 요건 충족해야 함
    • 1년간 납입금액 증빙(은행 납입내역서) 필요